11월, 2018의 게시물 표시

[대만 2016] 01. 여행전 예습을 하자

이미지
3번째 결혼기념일이 왔다 매년 그렇듯 이번에도 여행을 거하게 떠나게 되었는데 ... 거 한게 아닌가? 아무튼 제목처럼 대만으로 가게 되었다 지난번 오키나와의 여행이 좋았던 기억이 있어서 이번에도 여행 전 예습으로 여행을 시작해본다 1. 국기와 나라이름 국기 청천백일만지홍기(青天白日滿地紅旗) 위는 우리에게 나름 익숙한 대만국기이다. 영어로 Republic of China라고 하며 정식명칭은 중화민국이다. 왠지 우리나라랑 비슷 China면 중국인데? Taiwan은 그럼 뭐지? (섬 이름이여 이누마;;) 먼저 China의 어원을 보면 지나(支那)라는 호칭이 그 시작이다 지나란 중국을 가리키는 호칭으로 중국역사상 최초의 통일국가 진나라에서 유례한거라는 설이 있다 또 중국 수나라-당나라 시대에 인도 승려가 불경을 한문으로 번역할 때(원래 불교는 인도에서 건너온거죠) 중국을 산스크리트어(인도의 고전어)로 음역한게 시초라고 한다 18세기 일본의 난학자들이 서양의 서적을 번역하면서 차이나(China)라고 전해진것으로 알려져있다 대만, 중화민국은 China공화국 쯤으로 해석하면 되는건가? 얼마전 트와이스 쯔위의 일로 알려졌기도 했지만 중국하고 대만은 사이가 좋지 않다 우리 남북같은 문제는 아니지만 아무튼.. 여기까지 이야기 하면 너무 깊게 들어가니 이건 여기까지;; 2. 영토 및 재원 대만의 지도이다 생각했던 것 보다 산이 참 많이 있었다 일단 면적은 35,980㎢이며 우리나라보다 작다 참고로 대한민국은 223,348km2 인구는 약 2천 3백만명이고 수도는 다들 아시다시피 타이페이 1인당 GDP는 2만1천불정도(2014년 기준)정도로 나름 잘 산다고 볼수있다. 우리나라랑 비슷함 공용어는 당연히 중국어(아.. 한자 알러지가 있는 나로서는...) 화폐는 대만달러를 사용한다 (NT$) 신기한게 여기는 서력이 아니

[전주 2016] 05. 콩나물국밥 삼백집

이미지
맛집이나 여행 좀 한다는 사람들한테 전주가면 꼭 먹어야 하는 음식이 뭐냐 물으면 대부분 '콩나물 국밥'을 이야기 한다 이런 이야기가 쉽게 나올만큼 콩나물국밥집이 많기도 하다 저마다 원조를 외치며 맛을 자랑하는데 전주에서 콩나물 국밥을 먹어본 적이 없으니(옛날에 남문시장에서 먹었던 피순대국은 정말 맛있었다) 어디를 가야할 지 몰랐다 자주 가는 커뮤니티에 물으니 나오는 대답이 '삼백집' 허영만 작가의 '식객'에 등장한 콩나물 국밥집이라 하더라 식객하니 파주에 있는 오두산막국수집이 생각난다 엄~~~~~~~청 맛있지는 않고 그냥 맛있는 집 하긴 음식이 맛있어봤자 미스터초밥왕마냥 막 사람을 울리고 그런일은 현실에서는 없으니깐 너무 큰 기대를 하는건 좋지 않다 정읍에 결혼식에 가기전 아침일찍 들렀다 이 사진을 찍은게 9시 50분정도인데 한 15~20분정도 기달렸던 거 같다 바로 옆에도 유명한 콩나물 국밥집이 있고 이 삼백집도 본점 말고 다른 분점들이 있는데 여기 이렇게 사람들이 많이 찾아오는거 보니 한국사람들의 맛에 대한 열정은 대단하다 ㅋㅋㅋ 삼백그릇의 정성 그러고보니 인터넷 어디선가 얼핏봤는데 하루에 딱 삼백그릇만 팔았다고.. 그래서 간판이 삼백집이라던데 이제는 그런분위기는 아닌 것 같다 참고로 이 집은 친절하고 고맙게도 24시간이다 (아마 맞을꺼다.. 정확히 기억이 안난다만;;) 테이블과 집기들 매장 분위기 밖에서 기다리는 사람들이나 아주 혼잡한 주차장에 비하면 매장안은 의외로 쾌적한 분위기였다 명품매장처럼 입장손님을 관리하는 건 아닐텐데 아마도 단일메뉴(사실 아니지만)로 인한 회전율이 좋은게 원인이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전주에서 콩나물 국밥을 처음 먹어보니 먹는 방법을 몰랐다 처음에 후라이를 받고서는 '이걸 국밥에 넣으라는 건가?' 라고 고민을 했다는..ㅋㅋㅋ 저 김을 부셔가지고 후라

[전주 2016] 04. 한정식집 기와

이미지
보통 사람들이 전주에 가서 먹지 말라고 하는 음식들이 있는데 한정식하고 비빔밥이다 하지만 뭐 가족행사라거나 하면 또 한정식 집 만한 곳도 없기때문에 어찌저찌 가게 되었다 음식이 중요하지 메뉴자체가 중요한 건 아니기 때문에 뭐 암튼 유명한 가게라는데 기와라는 간판에 어울리지 않게 기와집은 아니다 아마 원래 기와집이었는데 엄청 돈 많이 벌어서 건물을 멋지게 올린게 아닐까.. 하는 추축을 ㅋㅋ 공영주차장 바로 옆에 위치해 있었다 저녁에 먹으러 갈 예정이었지만 눈에 띄어서 낮에도 한번 찍어보았다 보시다시피 매장이 멋지구리하고 넓다 층 마다 메뉴가 다른걸로 기억한다 이곳은 입구 양쪽옆에 보이는 건물들도 뭔가 용도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햇지만 얼핏보기엔 그냥 텅 빈 공간이었다 조명이 들어오니 나름 느낌이 있는 모습 한정식이 아니고 무슨 호텔들어가는 느낌? 뭔가 비싼 느낌.. 깔끔한... 이라고 쓰다가 자세히 보니 꼭 그렇지도 않은..ㅋㅋ 기와 영어로 써 놓으니깐 이상해!!!! ㅋㅋㅋ 저 심볼은 무슨의미인지 궁금하다 얼핏보면 뭐 연장같기도 하고... (아니면 건물인가;;) 버섯에 새겨진 글씨가 아주 인상적이었다 그리고 떡갈비도 아주 질이 좋았다 분위기 때문일지도 모르지만 그래도 식감이 아주 좋았던 고기 이건 좀... 제육인데 플레이팅에서 빵 터졌다 음.. 내가 선호하는 분위기는 아니라는 점? 사진으로 보니 뭔가 괜찮아 보이기는 하는데 암튼 웃겼다 ㅋㅋ 된장국이랑 고등어, 나물 다 맛이 괜찮았다 자극적이지도 않고 그렇다고 너무 심심하지 않은.. 뭐 그냥 어느 동네가도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는 저급하지 않은 한정식 느낌 된장국은 그래도 그 중에서 특히 괜찮았다 집에서 먹는 잘 끓인 된장국 맛 아..... ㅋㅋㅋㅋㅋㅋㅋㅋ

[전주 2016] 03. 교동다원

이미지
전주 한옥마을은 그 이름답게 전통찻집들이 많이 있다 인사동하고 비슷한 느낌 ㅋ 여행이라고 해도 마냥 돌아다니기만 할 수는 없으니 찻집에라도 가자 하여 아내가 알아본 전통찻집으로 고고 입구는 이렇게 되어있다 한옥마을은 전체적으로 간판들이 참 마음에 든다 너무 크지않고 나름 센스있고.. 뒷변 작은 담벼락에도 이런 작은 그림이... 골목과 잘 어울린다고 생각이 든다 창피하지만 한자 정말 모른다 느낌상으로는 입춘대길? ㅋㅋ 봄을 생각나게 해주는 작은 풍경 입구에 들어서면 이런 마당이 보인다 찻집이라기 보다는 그냥 옛날에 있던 넓은 기와집 느낌? 그 드라마 보면 80년대 서울 하숙집 같은.... 그래도 집안에 이런것도 있고.. 좋은 것 같다 대나무는 그냥 내비둬도 잘 자라는 건가? 갑자기 쓸데없는 궁금증이...ㅋㅋ 약간은 엄중한(?)분위기라서 여기저기 둘러볼 기회가 별로 없었다 찻집은 이렇게 신발을 벗고 들어가는데 다른 별채도 있다 봄봄봄♡ 실내도 제법 넓다 사진에 보이는 안쪽방을 여러 손님들이 탐을 냈는데 직원이 못 들어가게 함 ㅋㅋ 이유는 잘 모르는데 좌석 선택은 눈치껏 그냥..ㅋㅋ 헌데 우리가 앉은 자리는 창가에 좋은 자리였다 ㅎ 테이블에 있던 초 밤에 와도 분위기가 나쁘지 않을 것 같았다 근데 한옥마을 대부분 상점이 일찍 문을 닫는 분위기던데 여기 영업시간은 정확히 모른다 뭐 찾아보면 나오겠지?(그냥 떠넘김 ㅋㅋ) 뭔가 풍경이 건강건강함 일반적으로 내가 생각하는 그런 전통찻집은 아니었다 인원이 몇명이건 메뉴는 통일해야 하는 분위기였고 우리는 황차라고(맞나?) 녹찻잎을 발효시킨 차를 주문했다 주문을 하면 도인같은 분위기를 풍기시는 사장님께서 오셔서 차를 즐기는 법을 설명해주신다 딱 봐도 머슴분위기인 내가 찍혔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