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스위치 이미지파일 업그레이드를 해보겠습니다. 여러가지 방법이 있는데요 전 그 중에 TFTP서버를 이용한 이미지 업그레이드를 시도하겠습니다. TFTP를 이용한다? 즉 내 PC를 TFTP서버로 만들고 스위치에서 PC로 접근해서 이미지파일을 복사해간다 이렇게 이해하시면 됩니다. 그럼 우선 제일 먼저 해야 할 일은? 네. 스위치와 PC간에 통신상태로 연결을 해야겠죠? 다음과 같이 PC IP주소를 변경한다. 그림처럼 안하고 편하신걸로 해도 됩니다. 어차피 PC와 스위치간의 1:1연결이기때문에 서브넷만 잘 맞춰주면 상관없어요. 스위치는 당연히 콘솔로 연결해야겠죠? 접속해서 VLAN상태를 본 그림입니다. config가 초기화 상태라서 아무것도 없는데 인터페이스 번호가 1/0/1... 이 아니고 3/0/1.. 이네요 -_-;; 아무튼 vlan도 기본 vlan들만 존재합니다. 인터페이스 정보를 조회합니다. show ip int b -> show ip interface brief 의 약어죠. GigabitEthernet3/0/1 -> 이녀석만 "UP"상태이네요. 제 PC와 연결되어 있는 상태입니다. 그럼 이 상태에서 PC와 스위치간에 통신을 하기 위해 임의의 VLAN을 만들어서 이 VLAN을 GigabitEthernet3/0/1에 할당하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VLAN을 만들어서 IP주소를 입력합니다. 입력후 3/0/1로 가서 생성한 vlan을 할당합니다. 애초에 존재하지 않은 vlan이였기 때문에 포트에 할당하면 자동으로 생성됩니다. 시스코 장비는 자동으로 되는데 타사장비는 이걸 지원안하는 경우도 있죠.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다...
SecureCRT라 하면 Xshell과 putty와 더불어 IT엔지니어가 가장 많이 이용하는 프로그램중 하나이다 많은 장점이 있지만 session관리와 console log를 기록하는데에 장점이 있다고 볼 수 있다 본인은 네트워크 엔지니어인데 중간에 프로젝트에 투입되다 보면 많은 수의 장비를 한꺼번에 넘겨받아 관리해야하는 경우가 생긴다 일일히 하나하나 session을 만들기가 쉽지가 않으므로 스크립트를 이용해서 한꺼번에 생성하는 방법을 소개해보도록 하겠다 ### 사실 구글링하다가 찾은 방법이다. 아무래도 사용자가 많다보니 좋은 자료/정보가 쉽게 구해지는 것 같다 ### 우리에게 익숙한 화면이다 스크립트 메뉴에서 "Run.."을 선택한다 클릭하면 바로 스크립트 파일을 열 수 있는 화면이 뜬다 여기서 미리 만들어둔 스크립트파일을 선택한다 위의 파일은 바로 아래에 모셔뒀다 https://drive.google.com/open?id=1X005ivbCZncgYZRqMWS9p0w9Y5snPUSQ 스크립트파일 (확장자 py)를 선택하면 바로 txt 또는 csv파일을 선택하는 화면으로 바뀌게 된다 즉 스크립트를 돌릴 스크립트 소스를 선택하고 해당 스크립트를 돌릴 대상파일을 찾게되는 것 보통 CSV파일로 하는게 쉽다 IT인들의 희망이자 영웅인 엑셀로 작업도 쉽고 하니... ㅋㅋㅋ 자 그럼 중요한 CSV의 내용이다 1행의 저 이름은 반드시 지켜줘야 하는 내용이다 보통 네트워크 엔지니어들이 session을 관리할 때 쓰는 항목은 저정도이다 세션이름. 접속대상 IP, 프로토콜, 세션을 저장할 폴더 언급한 항목 외에도 더 지정할 수 있는 항목들이 있다 위 그림을 참고하자 위 사진의 CS...
시작 ASUS공유기 비싸긴 하지만 기능도 많고 디자인도 멋지고 해서인지 많은 사람들이 이미 사용중에 있다 본인이 사용하는 모델은 AC68P모델인데 AC68U모델과 펌웨어는 공유하여 쓴다 오늘은 펌웨어나 다른 설정이야기 보다는 공유기에 달려있는 USB포트를 이용하여 외장하드를 연결 이 외장하드를 간이나스(NAS)로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만 따로 이야기 해 본다 FTP 파일을 공유하는 프로토콜인데 사실 개인적인 생각에는 이 ASUS 공유기를 사용하는 가장 큰 이유중 하나가 바로 이 FTP이다 아니, 정확히는 NAS를 구축해서 FTP를 이용한 개인 파일서버를 운영하는 것 물론 AiCloud나 미디어 서버 등 부가적인 기능이 많이 있지만 전송속도 등의 이슈가 있다 가장 핵심은 역시 FTP 요즘은 스마트폰 미디어 어플에서도 FTP를 이용하여 바로 스트리밍 하는 기능이 있으니 데이터 걱정을 제외하면 역시 FTP를 이용하는것이 자료의 활용측면에서 가장 뛰어나다고 할 수 있다 Aicloud는 WebDev처럼 웹브라우저에서 파일을 업로드/다운로드 할 수 있는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이다. 스마트폰용 어플도 있다. 즉 쓰면 좋은 것이다 하지만 앞서 이야기한 것 처럼 FTP가 짱임 DDNS와 포트포워딩 사실 그냥 외장하드를 연결하고 FTP를 enable하면 내부에서는 바로 사용 할 수 있다 하지만 그렇게 사용하면 반쪽짜리 좀 더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선 어디서든 내 FTP에 접근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해야 하는데 그럴때 필요한 필수 기능이 DDNS와 포트포워딩 기능이다 DDNS는 다른 블로그나 웹페이지에서도 정말 쉽게 찾을 수 있다 하지만 본인은 정작 DDNS가 아니라 포트포워딩에서 해매게 되어 이 블로그를 작성하게 되었다 만약 DDNS를 이용하여 공유기의 설정페이지까지 접근은 하는데 간이NAS 서버가 외부 인터넷망에서 연결이 안된다면 포트포워딩의 설정화면을 살펴보자 ...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