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STP (1)
이번엔 MSTP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MSTP도 이름을 보면 아시겠지만 STP의 한 종류입니다.
MSTP가 탄생한 배경은 복수개의 STP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입니다.
무슨말이냐면 예를들어 vlan이 500개 있는 switch라고 가정해봅니다. 이 switch는 2초당 bpdu프레임을 500개씩 전송하겠죠. STP가 그렇게 생겨먹었으니까요, 그렇게 되면 장비의 과부하를 염려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따라서 이 복수개의 VLAN들을 임의의 그룹(instance)으로 묶어서 효율적으로 관리하고자 하는게 MSTP라고 할 수 있습니다.
500개를 2개의 instance로 묶으면 2초당 500개의 bpdu가 아닌 2개의bpdu만 운영하면 해결이 되는것이니 더 좋아보입니다.
- MSTP 영역 (region)
MSTP를 보면 영역(region)이란 단어가 나옵니다. 이것이 무엇이냐면 전체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switch가 모두 같은 수의 VLAN을 운영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그림을 보면 영역A는 vlan 101부터 300까지 사용하고 영역B는 VLAN 101부터 200까지 사용하는 스위치끼리 연결되어 있다고 가정하게 되면 위 그림처럼 영역을 나누어서 서로 다른 instance를 만들어 주면 됩니다.
만약 전부 하나의 영역으로 운영을 하게 되면 SW4 - SW6까지는 하나의 인스턴스만 사용하게 됩니다. 지금 보니 그림에서 instance 철자가 틀렸네요. 죄송합니다.
아무튼, 동일한 VLAN을 사용하는 switch끼리 맵핑하여 그룹을 짜는것이라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 CIST, MSTI
MSTP는 2가지 spanning-tree가 동작하는 구조입니다. 그것이 위 제목의 CIST와 MSTI입니다.
1) CIST
CIST는 전체 스위치 네트워크에서 하나의 root switch를 선출. loop없이 이를 구성하는 것.
모든 스위치에서 CIST root switch를 선정, 각 영역별로 CIST region root switch를 또 선출합니다.
CIST region root switch는 CIST root switch까지의 경로값이 가장 작은 switch로 선출합니다.
2) MSTI
MSTI는 각 영역내에서 instance별로 root switch 를 선출.
이렇게 이해하시면 됩니다. 글로만 보면 뭔지 잘 이해가 안되죠..
그림을 보시면 SW1이 전체 네트워크의 CIST root switch라고 가정해봅니다. 아마 브릿지ID가 가장 낮은 switch겠죠.
그렇게 되면 영역A에서는 자연히 가장 우선순위를 가지는 SW1이 영역A root switch가 되는것이고
영역B는 CIST root switch와 가장 가까운 경로를 가지는 SW5가 영역B root switch가 되는것입니다.
MSTI는 일반적인 STP가 동작하는 방법을 그대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단지 차이점은 하나의 vlan이 아닌 임의의 복수개의 vlan들을 묶어서 동시에 운영한다는 차이점이 있는것이지요.
MST는 이런 기본적인 개념으로 다양한 장점이 있습니다. 보안적인 측면이나 로드밸런싱 이슈도 해결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MSTP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만 설명하기로 합니다.
다음포스팅에서는 위 예시에 나온 그림 그대로 MST를 구성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GNS3를 이용해서 MSTP를 구현할려고 시도를 했었습니다만 안타깝게도 GNS에서는 구현이 안되네요?
저도 몰랐습니다.
위의 내용만으로는 너무 간단히 설명해서 내용이 좀 부실하다 생각이 드는데 정작 실습파트가 진행이 안되니 이거 좀 많이 난감합니다. 하하;;
이거 보시는 분들 중 MSTP 실습할 수 있는 가상시뮬레이터 있으시면 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ㅎ;;
eve-ng 에서 mst 구성 가능합니다.
답글삭제